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C A T E G O R Y30

cover item thumbnail1 [OrCAD] OrCAD 단축기 정리 OrCAD 16.3의 단축기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회로도를 그릴 때 단축기는 필수이다. 단축기를 많이 알수록 회로도를 그리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자주 쓰는 단축기는 손가락이 기억하지만 잘 안 쓰는 단축기는 잊지 마련이다. 회로도를 그리다 보면 한 두번은 안 쓰는 기능을 찾게 된다. 기능을 찾는 시간도 제법 많이 차지한다. 그래서 바로 찾을 수 있게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Place 1. P : Part 2. W : Wire 3. N : Net alias 4. B : Bus 5. J : Junction 6. E : Bus Entry 7. F : Power 8. G : Ground 9. X : No connect 10. T : Text 11. Y : Poly line ▶ 객체 배치 및.. 2021. 8. 3.
cover item thumbnail1 [PADS] NET가 얇은 선으로 표시 될 때 해결하기 아래 사진과 같이 Routing 한 Net가 얇은 선으로 보일 때가 있다. Net의 두께를 0.3으로 설정했는데도 설정된 두께가 나타나지 않고 얇은 선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 이유는 Net의 두께가 변경된 것이 아닌 화면에 보일 Net 두께 범위가 잘못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아래 사진처럼 'r' 커맨드를 쓰면 된다. 'r' 커맨드는 화면에 보일 Net 두께 범위를 지정한다. 'r0'을 입력하면 Net 두께가 0보다 클 경우 정상적으로 보여준다. 'r0' 커맨드를 입력하니 Net의 두께가 정상적으로 보여준다. 이 기능은 전체적인 배선 느낌을 한눈에 보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2021. 8. 2.
cover item thumbnail1 [PADS] VIA에 나타난 X 표시 제거하기 PADS 파일을 열었을 때 아래 사진처럼 via에 X 표시가 나타난다. via에 표시된 X가 시선을 사로잡아 굉장히 거슬린다. 이 X 표시는 Ground via가 내층 Ground plane에 연결되었는지를 표시해준다. 유용한 기능이지만 X 표시로 인해 가독성이 떨어진다. 필자는 X 표시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 사진과 같이 상단의 Tools를 클릭하면 하위 메뉴가 뜨는데 그중 Options를 클릭한다. 아래 사진과 같이 Options 팝업 창이 뜨면 Thermals 탭에 들어가서 하단에 Show general plane inducators를 체크 해제 후 OK 버튼을 클릭한다. 아래 사진과 같이 via에 나타난 X 표시를 제거하였다. 2021. 8. 2.
cover item thumbnail1 [PADS] Copper가 그물망으로 보일 때 해결하기 도통되는 전류가 높은 경우 또는 방열 등 추가로 Copper을 깔아서 패턴을 보강해준다. 아래 사진과 같이 Copper을 깔았는데 Copper가 그물망으로 보일 때가 있다. Copper가 제대로 깔렸는지 찝찝한 기분이 든다. 필자는 Copper가 그물망으로 보일 때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Copper가 Line settings부터 확인한다. 해당 Copper를 선택한 후 Ctrl + Q를 누르면 Drafting Properties 팝업 창이 뜬다. Line setting의 Width를 확인한다. 필자의 경우 Width가 0.01로 되어 있다. 다음은 Options의 Hatch grid를 확인한다. Ctrl + Enter를 누르면 Options 팝업 창이 뜬다. Hatch grid에서 Co.. 2021. 8. 2.
cover item thumbnail1 [PADS] PADS 단축기 정리 PADS VX2.4의 단축기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PCB Layout 작업할 때 단축기는 필수이다. 단축기를 많이 알수록 작업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자주 쓰는 단축기는 손가락이 기억하지만 잘 안 쓰는 단축기는 잊기 마련이다. PCB Layout을 하다 보면 한 두번은 안 쓰는 기능을 찾게 된다. 기능을 찾는 시간도 제법 많이 차지한다. 그래서 바로 찾을 수 있게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Control Key 1. Ctrl + A : 설계 화면의 모든 객체 선택 2. Ctrl + B : Board outline 전체를 회면에 표시 3. Ctrl + C : 현재 선택한 객체를 복사 4. Ctrl + D : Redraw를 실행 5. Ctrl + E : 선택된 객체의 이동 6. Ctrl + .. 2021. 8. 2.
cover item thumbnail1 [PADS] OrCAD에서 생성한 Netlist PADS에 불러오기 필자는 OrCAD 16.3에서 회로도의 Netlist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OrCAD에서 생성한 Netlist를 PADS에 불러오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 사진과 같이 상단의 File을 선택하면 하위 메뉴가 뜨는데 Import를 클릭한다. File Import 팝업창이 뜨면 앞서 만들어 놓은 확장자명이 *.asc인 Netlist file을 선택하고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아래 사진과 같이 OrCAD에서 생성된 Netlist file을 PADS에 불러오는데 성공했다. 필자는 여기서 끝내는 것이 아니라 한 곳에 모여있는 부품들을 정렬시키는 작업을 추가로 더 한다. 한 곳에 모여있으면 남은 부품의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부품들을 정렬시킨다. 상단의 Tools를 선택하면 하위 메뉴가 .. 2021. 8. 1.
cover item thumbnail1 [OrCAD] PADS에서 PCB Layout을 위한 OrCAD Netlist 생성하기 필자는 회로도를 그리는 툴은 OrCAD를 사용하고 PCB Layout를 위한 툴은 PADS를 사용한다. PADS에서 PCB Layout 작업을 위해 OrCAD 16.3에서 회로도의 Netlist를 생성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Netlist를 생성하기 앞서 아래와 같이 2가지를 체크해야 된다. ▶ Part References 정리 C1, R1, J1, U1, Q1 ... 등 각 부품의 Reference가 중복이 되지 않도록 정리해줄 필요가 있다. 회로도의 그려진 전체 Reference를 한 번에 자동으로 정리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 사진과 같이 dsn 파일의 SCHEMATIC1을 클릭 후 U? 아이콘을 클릭한다. U? 아이콘을 클릭하면 Annotate 팝업 창이 뜬다. Action에서 Reset pa.. 2021. 8. 1.
cover item thumbnail1 [OrCAD] OrCAD 16.3 환경설정 #4 OrCAD 16.3의 환경설정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 사진은 상단의 Options을 선택하면 하위 메뉴가 뜨는데 그중 Schematic Page Properties의 설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Schematic Page Properties는 개별 회로도면에서의 설계 템플릿을 변경한다. Preferences의 설정에 관한 내용은 OrCAD 16.3 환경설정 #1에 소개되어 있다. Design Template의 설정에 관한 내용은 OrCAD 16.3 환경설정 #2에 소개되어 있다. Autobackup의 설정에 관한 내용은 OrCAD 16.3 환경설정 #3에 소개되어 있다. Page Size 회로도면 용지 크기를 변경 Grid Reference 회로도면 외곽 격자의 간격, 개수, 단위 등을 .. 2021. 7. 31.
728x90
반응형